티스토리 뷰
2025년에도 정부 지원 정책의 핵심 기준은 바로 **‘중위소득’**입니다.
특히 중위소득 180%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는 다양한 복지 혜택 대상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이 글에서는 ‘중위소득 180%’가 무엇인지, 어떤 혜택이 가능한지,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
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.
중위소득 180%란
중위소득이란, 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을 말합니다.
정부는 해마다 이 기준을 새롭게 산정하며, 대부분의 복지정책 수급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: 5,487,174원
중위소득 180% = 약 9,877,000원
즉, 월 소득이 9,877,000원 이하인 4인 가구는 '중위소득 180% 이하'에 해당됩니다.
*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니 반드시 가구 구성 확인이 먼저입니다!
중위소득 180% 이하 혜택
1. 에너지 바우처 지원
- 여름·겨울철 냉난방비를 지원
- 소득이 중위소득 180% 이하라면 신청 가능
- 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2. 긴급복지 생계비 지원
- 갑작스러운 실직, 질병 등 위기 상황에서
- 생계비·의료비·주거비 등 최대 수백만원까지 일시 지원
3. 청소년 한부모가정 지원
- 24세 이하 미혼모·미혼부 가정
- 자녀 양육비, 교육비 등 지원 확대
- 신청 시 소득 기준으로 중위소득 180% 이하 적용
4. 지방자치단체별 출산·육아 지원금
- 일부 지자체는 출산지원금 지급 대상 기준을
기초생활수급자 → 중위소득 180% 이하까지 확대 - 아기수당, 기저귀바우처, 영유아 보육비 등 다양
중위소득 180% 확인 방법
- 가구원 수 확인
- 본인 포함 함께 거주하는 배우자, 자녀, 부모 등 포함
- 복지로 모의 계산기 이용
-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
- 소득기준 모의계산기 클릭
- 가구원 수와 월소득 입력 → 자동 계산
- 지자체 주민센터 직접 문의
- 기준이 애매할 경우, 거주지 동주민센터 문의가 가장 정확합니다
중위소득 180% 모의계산
많은 사람들이 "기초생활수급자만 지원받는 거 아닌가요?"라고 생각하지만,
실제로는 중위소득 180% 이하 가구가 대상인 복지제도가 점점 늘고 있습니다.
생계지원
출산·양육 지원
교육비·보육료 감면
주거비 지원
에너지요금 감면
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혜택이 많고, 신청만 하면 수십만 원 이상의 금전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👇아래 링크에서 1분 만에 확인 가능👇
중위소득 180% 정리
가구원 수 | 2025년 기준 중위소득 | 180% 기준 소득 |
1인 | 2,200,647원 | 약 3,960,000원 |
2인 | 3,637,612원 | 약 6,547,000원 |
3인 | 4,699,145원 | 약 8,458,000원 |
4인 | 5,487,174원 | 약 9,877,000원 |
5인 | 6,138,306원 | 약 11,048,000원 |
혹시 나도 해당될까 고민되신다면, 일단 모의 계산이라도 꼭 해보세요!
생각보다 많은 혜택을 놓치고 있을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