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지갑 사정이 팍팍한 요즘, 정부가 서민 지원을 위해 ‘ㅊ’을 지급합니다. 특히 이번엔 전 국민 약 3,700만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, 관심이 아주 높은데요.
7월 21일부터 시작되는 이 소비쿠폰, 누가 받을 수 있고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꼭 필요한 정보만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언제?
- 1차 신청: 2025년 7월 21일(월) 오전 9시 시작
- 신청 마감: 2025년 9월 12일(금) 오후 6시까지
-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 운영: 신청 첫 주 (7/21~7/25 평일) - 월: 1,6 / 화: 2,7 / 수: 3,8 / 목: 4,9 / 금: 5,0
- 2차 신청: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진행
국민비서 알림 신청자는 미리 문자로 대상 여부와 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.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얼마까지? (최대 55만 원)
소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구분 | 기본 지급 | 지역 추가 | 2차 추가 | 최대 금액 |
일반 국민 | 15만 원 | +3만~5만 원 | +10만 원 | 30만 원 |
차상위·한부모 | 30만 원 | +3만~5만 원 | +10만 원 | 45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40만 원 | +3만~5만 원 | +10만 원 | 최대 55만 원 |
✅ 비수도권 거주자: +3만 원 추가
✅ 인구감소지역(84개 시·군) 거주자: +5만 원 추가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
① 온라인 신청 (간편)
- 신용/체크카드사 홈페이지·앱·ARS
- 지역사랑상품권 앱
- 국민비서 알림톡 통해 문자 신청 안내
② 오프라인 신청
- 거주지 동 주민센터 방문 → 선불카드 수령
- 거동 불편자는 ‘찾아가는 신청’ 가능
✅ 신청은 본인만 가능
(단, 미성년 자녀는 세대주가 신청 가능하며, 대리신청 시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필요)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
✔ 사용 가능 업종 (연매출 30억 이하 소상공인 매장)
- 전통시장, 동네 마트
- 식당, 빵집, 치킨집, 카페
- 프랜차이즈 가맹점 (직영 제외)
- 편의점, 의류점, 미용실, 안경점, 약국, 병의원
- 교습소, 학원 등
- 대면 결제 배달앱 주문도 일부 가능
예를 들면, CU·GS25 편의점, 공차, 이디야커피, BBQ·BHC 같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쓸 수 있어요.
각 편의점 브랜드는 쿠폰 고객을 위해 생필품 할인 행사도 하고 있습니다!
❌ 사용 불가능 업종
- 대형마트 (이마트·홈플러스 등)
- 백화점, 면세점
- 온라인 쇼핑몰, 배달앱 (비대면 결제)
- 대형 전자제품 매장
- 유흥주점, 카지노, 복권방 등 사행성 업소
- 상품권, 귀금속, 공과금 등 환금성 업종
📌 소비쿠폰은 주소지 관할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타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.
단, 카드형으로 신청한 경우 주소 이전 시 새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해요.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기한
사용 기한: 2025년 11월 30일까지
이 기간이 지나면 잔액은 자동 소멸되니 꼭 잊지 말고 사용하세요!
주의사항 체크
‘정부 쿠폰 지급’ 문자로 사기 문자·스미싱이 기승입니다.
정부나 카드사는 절대 URL 포함 문자를 보내지 않아요!
모르는 링크 클릭 NO! 스미싱 피해 시 118로 신고하세요.
신청 전에 국민비서나 카드사 안내 메시지를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.
마무리 요약
항목 | 내용 |
신청 기간 | 2025.07.21 ~ 09.12 (1차), 2차는 09.22~10.31 |
지급 금액 | 기본 15만 원~ 최대 55만 원 |
신청 방법 | 카드사 앱·홈페이지 / 주민센터 방문 |
사용 기한 | 2025.11.30까지 |
사용처 | 전통시장, 소상공 매장, 프랜차이즈 가맹점 |
주의 | 스미싱 문자 조심 / 지역 외 사용 불가 |
이번 소비쿠폰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지역 상권을 살리는 중요한 소비 유도 정책입니다.
놓치지 말고 꼭 신청해서,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시길 바랍니다.